본문 바로가기

이슈&리포트

분야별 대표기업에게 듣는 2014년 자동화산업 전망-M/C분야②

Special Report ②







분야별 대표기업에게 듣는 2014년 자동화산업 전망


 


올 2014년 제조자동화 업계는 기술적으로 커다란 변혁의 시대를 맞이할 전망이다.
빅 데이터(Big Data) 및 클라우드(Cloud), 모빌리티(Mobility) 등, IT 단과의 통합을 위한 기술들이 제조자동화 업계의 기술을 크게 변화시키면서, 이러한 시대적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한 메이저급 자동화 기업들의 행보가 분주하다.
한편, 올 2014년은 반도체 및 자동차, 철강 등 일부 분야에서의 설비투자를 제외하고는 시장을 활성화시킬 만한 호재가 없는 가운데, 상반기까지 자동화 기업들의 고전이 이어질 전망. 2014년 전체적으로는 전년대비 소폭 성장 또는 보합세를 예상하는 의견이 압도적이다.
특히, 그동안 외산 글로벌 기업들이 장악해온 국내 제조 자동화 산업은 HMI나 모션 컨트롤(Motion Control) 등의 일부 분야에서 국내 로컬 업체들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시장 경쟁판도에 변화의 조짐이 보이고 있는 점도 눈여겨봐야 할 대목.
국내 자동화 산업을 주도해 나가고 있는 분야별 대표기업으로부터, 지난해 사업성과 및 올 2014년 시장전망과 사업전략을 들어봤다.
 
<기획ㆍ취재/최교식 기자
cks@engnews.co.kr>






 



주요 자동화산업 분야별 대표 및 담당자 인터뷰




Motion Control 분야
·알에스오토메이션 정용국 부장
·한국미쓰비시전기 전형선 부장
·한국오므론 김창범 대리 


“주요 모션 컨트롤 수요처의 설비투자 위축으로, 모션 컨트롤 부분의 매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

향후 모션 컨트롤 기술은 정교하면서 사용하기 편해지는 방향으로 기술이 전개되어 나갈 것으로 예상

1401스리-미쓰인물.jpg
-모션 컨트롤 업계의 주요 수요처인 액정과 반도체 분야의 설비투자가 정체 또는 감소되면서, 지난 2013년 국내 모션 컨트롤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국내 모션 컨트롤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미쓰비시전기의 지난 2013년 모션 컨트롤 비즈니스 성과는 어떠했나.
▲지난해는 상반기까지 순조롭게 수주 매출이 이루어지면서, 전년동기 대비 성장곡선을 보였는데, 하반기부터 시장이 위축되면서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분위기다.
지난 2013년에는 모션 컨트롤의 주요 수요 산업군에 해당하는 액정 분야에서 L사의 광저우 공장과 S사의 중국 수쩌우 공장, 이 두 가지의 프로젝트가 우리  한국미쓰비시전기의 모션 컨트롤 매출을 견인하는 역할을 했다. 이외에 중국의 BOE 프로젝트로부터 일부 수주를 확보하는 성과가 있었다.
액정 및 TSP(Touch Screen Panel), 배터리 등 스마트폰과 관련된 특수가 지난 2012년부터 작년까지 이어지면서 이에 따른 판매가 호조를 보였다.
우리 한국미쓰비시전기는 2013년 회계연도가 아직 남아있긴 하지만,  현 시점에서 판단할 때 2013년 모션 컨트롤 매출은 국내외적인 설비투자 위축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이상의 매출 실적이 예상이 된다.

-네트워크 관련 비즈니스는 어떠했나.
▲일부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는 고객층이 있긴 하지만, SSCNET Ⅲ와 CC-Link IE와 같은 네트워크 비즈니스 역시 순조롭게 확대가 됐다.

-전용기 분야의 수요는 어떠했나.
▲가전분야에 적용되는 피더기나 프레스기 등 일부 분야에서 수요가 확보됐다.

-보드 타입의 모션 컨트롤 비즈니스는 한국 시장에서도 전개가 되고 있나.
▲국내 대표적인 모션 보드 업체인 A사와 C사에 의해 진행이 되고 있다. A사에서는 개발이 완료되어 장비가 이미 판매가 되고 있고, C사의 경우에는 현재 개발 중에 있다.
우리 한국미쓰비시전기의 입장에서는 보드 타입의 모션 컨트롤 비즈니스 역시 확대시킬 계획이 있다.

-지금 얘기한 A사와 C사의 경우, SSCNET Ⅱ와 Ⅲ/H를 지원하는 제품이 개발이 되어 있는 상황인가.
▲현재 SSCNET II와 SSCNET III/H를 지원하는 제품이 모두 개발되어 판매 중이다.

-지난 2012년 출시된 MELSERVO-J4시리즈의 제품 라인업은 완료가 된 것인가.
▲22kW급까지 라인업이 완료되어 있다.
한국미쓰비시 메인_Page_01.jpg

-MELSERVO-J4 시리즈의 특징은 무엇인가.
▲새로 출시된 MELSERVO-J4 시리즈는 고 분해능, 고성능을 추구한 진화된 서보 제품군이다.
MELSERVO-J4시리즈는 응답속도 2.5kHZ의 속도주파수 응답을 실현했으며, 22비트 엔코더를 탑재하고 있다. 또한 양방향 150Mbps 속도의 SSCNETⅢ/H에 대응한다.
특히, J4시리즈는 모터의 토크를 유지하면서 영구자석 사용량을 기존제품에 비해 최대 30% 삭감시키는 한편, 다(多)축 일체형 서보 드라이브에서는 감속축의 회생 에너지를 다른 축의 모터 구동 에너지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에 공헌함은 물론, 환경적인 영향 까지 고려했다.
또한STO(Safety Torque Off) 및 SS1 등 IEC/EN 61800-5-2 안전기능에 표준에 대응하며, 하나의 유닛에 2대/3대의 서보 모터를 구동할 수 있는 다(多)축 일체 서보 드라이브를 라인업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및 소형화, 시스템 구축비용 절감을 실현했다.

-지난 2013년 모션 컨트롤 업계의 이슈로는 어떤 것이 있었나.
▲모 일본 업체가 일본에서 개최된 SFC 전시회에서 새로운 서보 및 컨트롤러 신제품으로 관심을 모았던 것으로 알고 있다.

-올 2014년 모션 컨트롤 시장전망은 어떻게 하나.
▲액정 관련 투자가 정체되어 있어서 모션 컨트롤 업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유럽과 북미 지역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약 70%로 포화상태에서 있어서 스마트폰 투자가 확대되는데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반도체 산업은 S사의 17라인 및 H사의 우시공장 등 지난해 하반기부터 투자가 살아나면서, 올해 반도체 관련 수요는 긍정적일 것으로 예상이 된다.

-올 2014년 시장 확대전략은 어떻게 전개해 나갈 계획인가.
▲우리 한국미쓰비시전기의 입장에서 얘기하면, 중국의 FPD 관련 투자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이 되고, 국내 FPD 시장 역시 미뤄왔던 투자가 재개되길 기대하고 있다.
스마트폰 시장의 신기종 출시가 예상이 되면서, 이와 관련된 신규 수요가 예상이 되고, 스마트폰과 관련된 주변부품 시장이 커서 이 부분에도 역량이 집중될 예정이다.
지난해 전용기 분야로부터 수요가 꽤 확보가 됐는데, 올해 역시 비슷한 물량이 확보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된다.
S사 및 H사 등의 설비투자가 예상이 되면서,  반도체 분야로부터의 매출 확보는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네트워크의 경우, 모션은 SSCNET으로, PLC는 CC-LINK IE로 꾸준하게 진행이 될 것으로 예상이 된다.

-올 2014년 매출 목표는.
▲2013년 대비 10% 정도의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향후 모션 컨트롤 업계의 기술 트렌드는 어떻게 예상을 하나.
▲희토류를 사용하지 않는 모터에 대한 개발이 활발해질 것으로 보이고, 모션이 정교해지면서 사용하기 편해지는 방향으로 기술이 전개되어 나갈 것으로 생각된다.
튜닝작업을 앰프가 자체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든지, 원하는 패턴을 주면 패턴에 맞춰 제어할 수 있게 되는 등,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모션 기능이 앞으로 시장에서 각광을 받을 것으로 예상이 된다.

-신제품 계획은 어떠한가.
▲리니어 제품은 액정 등 고가시장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데, 최근 우리 미쓰비시전기에서 MELSERVO-J4 시리즈에 맞춰 리니어 제품군에서 H3 시리즈가 새롭게 출시가 됐다.
또 PLC 분야에서는 내부 인터페이스 속도가 빨라진 R시리즈가 새롭게 출시되어, 국내에서도 Automation World 기간 중 집중적으로 소개가 될 예정이다.

 새로 출시된 LM.jpg


지난 2013년에는 모션 컨트롤의 주요 수요 산업군에 해당하는 액정 분야에서 L사의 광저우 공장과 S사의 중국 수쩌우 공장, 이 두 가지의 프로젝트가 우리  한국미쓰비시전기의 모션 컨트롤 매출을 견인하는 역할을 했다. 이외에 중국의 BOE 프로젝트로부터 일부 수주를 확보하는 성과가 있었다.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분야별 대표기업에게 듣는 2014년 자동화산업 전망-M/C분야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