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리포트

분야별 대표기업에게 듣는 2014년 자동화산업 전망-PLC 분야③

Special Report ②


분야별 대표기업에게 듣는 2014년 자동화산업 전망


올 2014년 제조자동화 업계는 기술적으로 커다란 변혁의 시대를 맞이할 전망이다.
빅 데이터(Big Data) 및 클라우드(Cloud), 모빌리티(Mobility) 등, IT 단과의 통합을 위한 기술들이 제조자동화 업계의 기술을 크게 변화시키면서, 이러한 시대적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한 메이저급 자동화 기업들의 행보가 분주하다.
한편, 올 2014년은 반도체 및 자동차, 철강 등 일부 분야에서의 설비투자를 제외하고는 시장을 활성화시킬 만한 호재가 없는 가운데, 상반기까지 자동화 기업들의 고전이 이어질 전망. 2014년 전체적으로는 전년대비 소폭 성장 또는 보합세를 예상하는 의견이 압도적이다.
특히, 그동안 외산 글로벌 기업들이 장악해온 국내 제조 자동화 산업은 HMI나 모션 컨트롤(Motion Control) 등의 일부 분야에서 국내 로컬 업체들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시장 경쟁판도에 변화의 조짐이 보이고 있는 점도 눈여겨봐야 할 대목.
국내 자동화 산업을 주도해 나가고 있는 분야별 대표기업으로부터, 지난해 사업성과 및 올 2014년 시장전망과 사업전략을 들어봤다.
 
<기획ㆍ취재/최교식 기자
cks@engnews.co.kr>

 


주요 자동화산업 분야별 대표 및 담당자 인터뷰


PLC 분야
·LS산전 배성한 부장
·로크웰 오토메이션 권오혁 차장
·지멘스 장동철 차장·구교식 대리


2013년, 국내 자동차 회사의 중국 공장에 프로피넷 전면 채택...향후 프로피넷 수요확산에 계기 제공

“고객의 요구에 맞춘 해당 산업별 라이브러리와 솔루션 제공 통해 시장 확대해 나갈 것”

 

-지난 2013년 지멘스의 PLC 분야 비즈니스 성과는 어떠했나.
▲소형 PLC인 S7-1200의 경우, 전년대비 20% 대의 괄목할 만한 성장이 있었다. 이 S7-1200의 경우에는 제품의 성능과 안정성이 최우선으로 고려되는 조선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이 있었다. 이 S7-1200은 현재, 경쟁사 제품을 주로 사용하던 업체들로부터 크게 호응을 얻고 있다.
소형 PLC인 S7-200은 기존부터 꾸준하게 사용하고 있는 고객층을 중심으로 크게 변동이 없었다.
중형 PLC인 S7-300은 기존 주요 수요처인 자동차 관련 산업에서의 적극적인 지지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반도체 관련설비에서 인정받은 안정성 및 신뢰성을 기반으로, 연관된 가스 등 환경설비 제어에 선정되는 성과가 있었다. 현재 타이어 및 풍력, 2차 전지 관련 OEM을 대상으로 한 신규 고객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또 대형 PLC인 S7-400은 예년과 마찬가지로 반도체 유틸리티 및 프로세스 등 안정성이 최우선으로 고려되는 분야에서 좋은 성과가 있었다. 현재 화학과 정유, 발전분야 등을 대상으로 한 신규고객 확보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S7-300과 400의 기능을 통합한 S7-1500의 비즈니스 진행상황은 어떠한가.
▲S7-1500은 이미 S7-300 및 S7-400이 가지는 지멘스만의 신뢰성, 구조적 논리적 우수성을 이어받아 검증을 마친 상황이다. 이를 바탕으로 펌웨어 V1.5를 장착한 제품이 공급이 가능한 상태다.
우리 지멘스에서는 충분한 기능적 업그레이드와 검증된 시스템 안정성을 포함한 다양한 성공사례를 고객에게 제시하여 S7-1500에 대한 신뢰를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한글 버전의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고, 앞으로 새로운 개념의 CPU 디스플레이 콘셉트를 적극적으로 홍보해 나가고자 한다.
현재 S7-1500의 CPU는 CPU 1511부터 CPU 1518까지 다섯 단계의 CPU를 통해 중형에서 대형에 이르는 모든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제품 포트폴리오가 완성되어 있다.

-S7-1500 1.5 버전은 CPU 외에 이전 버전과 어떤 점이 개선이 됐나.
▲앞서 설명한 대로 한글지원과 시큐리티에 대한 보강 외에, 지난해 8월 세이프티 모듈인 1500F 모듈이 새롭게 출시가 됐다. TIA Portal 13버전이 출시되면 I/O가 출시될 예정이며, 올 하반기에 기존의 모션 제어용 S7-300 Technology CPU를 대체할 수 있는 1500 Technology CPU 모델이 나올 계획이다.
Technology CPU의 기본기능은 인터폴레이션 즉, 보간기능으로 과거 4축 및 8축에서, 16축까지 축 제어기능이 강화가 된다.
현재 중형부터 대형까지 커버할 수 있는 S7-1500에 대한 전체 제품 포트폴리오 윤곽이 나왔다. S7-1500은 산업용 이더넷과 IT 기술을 완벽하게 커버할 수 있도록 개발이 되어 출시가 됐다. 따라서 앞으로 S7-1500이 현재 산업계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IT기술을 효율적으로 커버하게 된다.

-지멘스에 있어서 S7-1500의 출시가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지멘스의 PLC의 역사를 보면, S5 PLC가 지난 1979년, S7-300이 1996년, S7-1500은 2012년에 각각 최초로 공개되어 시장에 출시가 됐다. 시장검증 기간을 약 2~3년이라고 할 때 대략 17~18년의 주기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지멘스는 S5와 함께 컴퓨터의 개념을 시장에 선보였고, S7-300과 함께 필드버스의 개념을, S7-1500과 함께 산업용 이더넷과 통합 프레임워크라는 기술적 변화에 맞는 새로운 솔루션을 제시하면서 자동화 기술 혁신을 이끌고 있다.
S7-1500은 지멘스 PLC 역사를 통해 이전 PLC 시스템들이 증명했던 기술 혁신성, 안정성, 신뢰성을 모두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지멘스를 대표할 PLC 제품군으로 20년을 책임질 수 있는 기술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산업분야별로 성과를 설명해줄 수 있나.
▲지난 2013년에는 자동차와 반도체, 철강업체를 중심으로 전년대비 성장을 달성했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앞서 설명한 중국 신설 공장에 S7-300 제품군 가운데 319PN으로 수주가 확정이 됐고, S사의 일부 라인에도 확정이 되면서 자동차 분야에서 안정적인 성장이 이어지고 있다.
반도체 유틸리티 분야에는 이중화 제품인 400H가 안정적으로 공급이 되고 있고, 일본 메이커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반도체 OEM 분야는 S7-1500 출시를 계기로 시장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또 일반 산업기계 분야는 S7-200을 사용하던 고객이 S7-1200으로 이전하는 과도기적인 시점에 있는데, S7-1200에 대한 장점이 시장에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국산 및 타 외산 소형 PLC의 수요를 대체해 나가고 있다. 앞서 설명했듯이 S7-1200은 전년대비 20~25%라는 괄목할 만한 성장이 있었다.
다른 자동화 업체들이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오일 & 가스 분야는 현재 우리 지멘스의 에너지 사업부에서 비즈니스를 진행하고 있는데, 가스업계의 메이저급 3개사가 지멘스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앞으로 EPC 부서를 통해 오일 & 가스 분야의 PLC 수요를 적극적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S7-1200은 S사나 H 사 등의 조선업체 외에 어떤 수요층에서 수요가 확보가 됐나.
▲컴프레서나 HVAC, 텐더머신, 와인딩머신, 패키징 머신 등에서 수요가 확대가 되고 있다. 특히 S7-1200은 펌웨어 3.0으로 업그레이드되면서, 4축까지 제어가 가능해졌기 때문에, 앞으로 수요가 더욱 빠르게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새롭게 출시된 ET200SP 및 ET200MP의 비즈니스 성과는 어떠했나.
▲EP200SP는 기존의 Remote I/O에 비해 성능과 크기, 통신 속도, 설치 편의성 및 진단 기능 등의 측면에서 혁신적일 뿐만 아니라, 가격 경쟁력도 있어서 현재 많은 고객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이 ET200SP는 지난 2012년 중반에 출시되어 국내에서도 꾸준한 홍보를 전개해온 결과 많은 고객층으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이것이 매출로 이어지고 있는 추세다. 앞으로 Safety 모듈을 비롯해서 각종 기능 모듈들이 순차적으로 발표가 될 예정이다.
ET200MP는 S7-1500용의 중앙 I/O로 사용되며, 프로피넷과 프로피버스로 별도 인터페이스 모듈과 함께 리모트 모듈로도 사용된다.
현재 ET200SP에 대한 비즈니스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으며, ET200MP의 경우에는 S7-1500과 함께 성과가 진행이 되고 있다.

-경제형 이중화에 대한 수요는 어떠했나.
▲꾸준히 수요가 이어지고 있지만, 현재 우리 지멘스 PLC 비즈니스에서 비중이 높은 상황은 아니다. 2015년경 S7-1500 이중화 제품이 출시가 되면, 경제형 이중화 수요가 본격적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13년 국내 전체 PLC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나.
▲모든 대형시장이 침체되어 있는 상황에서 유일하게 반도체와 자동차 분야가 호황을 보이면서, 이 분야에 강한 자동화 업체들이 수혜를 입은 것으로 알고 있다.

-지난 2013년 PLC와 관련된 기술적인 성과로는 어떤 것이 있나.
▲S7-1200 제품군에서 새로운 CPU인 Simatic S7-1217이 출시되면서, 저비용, 고성능 시스템 설비에 대응이 가능하게 됐으며, 프로피넷 기술이 PLC부터 Motion, 스위칭 디바이스, 파워서플라이, RFID 센서, HMI 패널 및 PC 등 전 영역으로 확대가 된 점을 들 수 있다.
또 S7-1500 시뮬레이터 및 Simit Simulation Framework V7.1 등 시뮬레이션 기능의 확대가 있었으며, WinCC OA 기술이 국내에 적용되는 성과가 있었다.

-현재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통합 솔루션 공급 움직임이 강화가 되고 있는 추세다. 프로피넷의 성과는 어떠했나.
▲국내 모 자동차 업체의 중국 신설공장에 프로피넷의 전면채택이 결정된 외에도, 현재 Wireless LAN에 대해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곳이 있다. 이것이 올 2014년의 이슈가 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다. 
또 산업용으로 특수 개발된 Sinema Server가 자동차혁신라인에 소개가 됐다. 하나의 화면에서 전 공장의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는 개념이 적용이 되고 있는데, 현재 자동차공장에서 좋은 반응이 도출되고 있다.

 -지난 2013년 PLC 업계의 이슈로는 어떤 것이 있었나.
▲첫 번째 이슈로는 앞서 얘기한 모 국내 자동차 업체의 중국 신설공장에 이더넷 베이스의 필드버스인 프로피넷이 전면 채택이 되면서, 향후 해당기술에 대한 적용사례가 확대될 수 있는 계기가 제공된 점을 들 수 있다.
두 번째 이슈로는 에너지 관리에 대한 고객의 요구사항을 들 수 있다. ProfiEngegy를 기반으로 한 노드관리 및 B.Data와 같은 에너지 사용 장치에 대한 모니터링 솔루션을 경영 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그러한 예에 해당한다.

-향후 PLC의 기술 트렌드를 어떻게 예상하나.
▲지난해 하노버 산업박람회에서 지멘스가 내건 슬로건은 ‘생산성과 효율성의 결합’이다. 이는 향후 자동화시장에서 PLC 기술이 목표로 하는 중요한 설정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높은 안정성과 최고의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시스템 전체에 이르는 투명성, 쉽게 사용 가능하며 강력한 네트워크 기반, 비용효율적인 에너지 솔루션, 빈틈없이 통합된 정보기술과 혁신적인 IT 기술의 접목, 그리고 통합 프레임워크 & 소프트웨어 솔루션, 설계에서 운영 유지보수에 이르는 서비스 솔루션 등 어느 때보다도 많은 기술변화가 진행 중이다.
이외에도 모션 기술의 통합과 네트워크 보안 & IT 기술의 통합, PLM 시스템과의 연동, 통합 엔지니어링 역시 PLC의 기술 트렌드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보안과 관련된 지멘스의 기술상황은 어떠하며, 지멘스의 향후 보안전략은 무엇인가.
▲지멘스는 계층방어(Defense in depth)의 개념을 충실히 따르며, 자동화 요소의 각 Cell 및 Level별 보안개념을 탑재하고 있다. 
Cell 당 보안을 위해서는 Scalance S 제품을 통해 Firewall, VPN 기능을 제공하며, 자동화  기기에 대해서는 각 통신카드에 보안개념이 포함된 제품이 제공된다.
데이터서버 레벨의 네트워크 카드와 소프트웨어에도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보안제품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보안 솔루션을 도입할 수 있도록 자기평가, 진단, 설계, 실행 및 자기평가로 수행되는 엔지니어링과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공공기관 위주로 보안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인데, 조만간 국내에서도 보안이 종합구성의 주요요소로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올2014년 국내 PLC 시장전망은 어떻게 하나.
▲국내 자동화시장의 수요를 주도해온 반도체 및 자동차 관련 산업이 올해도 꾸준하게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며, 다른 산업군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지난해에 이어 불경기의 영향으로 신규투자를 자제하는 분위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OEM 기계 밴더를 중심으로 해외수출 시장 개척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이 되며, 국내의 고급 엔지니어/엔지니어링의 수출이 본격화되는 시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외에 Scalance W와 같은 Wireless LAN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어서, 이 부분에서의 성과 역시 기대가 된다.

-지멘스의 2014년 PLC 시장 확대전략은.
▲현재 고객들은 자신들의 특정한 산업분야에 맞춤 설계된 엔드투엔드(End-to-End) 솔루션을 하나의 소스에서 얻기를 원하는 추세다. 지멘스는 이러한 고객의 요구에 맞춰 해당 산업별 라이브러리와 솔루션을 계속 추가하고 있으며, 적극적으로 고객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연속적이고 지속 가능한 조직 구조를 갖추어 파트너와 현장에서 입수한 정보를 바탕으로 영업, 기술 및 마케팅 지원에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S7-1500에 대한 시장전략은 어떻게 전개해 나갈 계획인가.
▲TIA Portal 13 버전이 출시가 되면 TIA Portal과 S7-1500, 컴포넌트 패널을 솔루션으로 묶어서 적극적인 영업과 프로모션을 전개해 나갈 방침이다. 프로모션에는 가격전략과 기술지원, 교육이 포함이 된다.

-올 2014년 PLC 매출목표는.
▲전년대비 10%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향후 기술 업그레이드 또는 신제품 계획에 대한 설명을 부탁한다.
▲올 2월, TIA Portal V13을 새롭게 선보일 예정이며, S7-1200/1500의 새로운 펌웨어를 탑재한 고기능 모델도 함께 출시할 계획이다.
TIA Portal V13은 국내에서 한글로 공급이 될 예정이며, S7-1500 CPU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도 한글이 지원될 계획이다.
Safety Integrated 부분에서는 S7-1500 시스템용 Safety I/O를 출시함으로써, 모든 제품군에 해당하는 포트폴리오를 갖출 방침이다.
또 PC Based 솔루션으로 WinAC 1500이 출시될 예정이며, Field PG M4 산업용 노트북은 지멘스 솔루션을 사용하는 산업현장에 최적의 사용 환경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 SITOP UPS1600 DC UPS 출시로 안정된 파워서플라이 솔루션을 제공할 방침이다.
특히 산업용으로 특수 개발된 Sinema Server는 자동 토폴로지 감지, 지속적 네트워크 모니터링, 포괄적 진단 및 보고기능을 바탕으로 산업용 네트워크의 투명성 극대화를 실현한다.

 

 

 

 

국내 모 자동차 업체의 중국 신설공장에 프로피넷의 전면채택이 결정된 외에도, 현재 Wireless LAN에 대해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곳이 있다. 이것이 올 2014년의 이슈가 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다. 
또 산업용으로 특수 개발된 Sinema Server가 자동차혁신라인에 소개가 됐다. 하나의 화면에서 전 공장의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는 개념이 적용이 되고 있는데, 현재 자동차공장에서 좋은 반응이 도출되고 있다.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분야별 대표기업에게 듣는 2014년 자동화산업 전망-PLC 분야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