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간 무인화기술

Moxa, 고성능 출력과 전원장치 구성에 대한 스마트 자동감지 및 스마트 전원 관리 Moxa의 SmartPoE는 PD 전원수준 및 상태를 평가하는 스마트 자동감지를 제공하고, 표준/비표준장치 모드 및 Moxa 전용 고성능 모드를 포함한 구성제안을 제공한다.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이 세상을 더 빠르게 연결시킴으로 인해, 사람들은 네트워크 인프라에 점점 더 많이 의존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더 많은 비즈니스, 운송 및 유틸리티 회사 및 제조회사들이 이미 Power over Ethernet(PoE) 기술에 대한 PoE 스위치를 적용하고 있다. 이 기술은 Powered Device(PD)의 전원공급을 더 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향상된 전원, 안정성 및 유연성을 포함한 PoE 스위치 수요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동영상감시 등 PD를 설치할 경우, PD가 PoE 표준을 초과하.. 더보기
SICK, 지능형 센서로 미래의 산업을 위한 새로운 토대 구축 SICK는 하노버 산업박람회에서 주요 관심사인 휴먼 로봇(Human-Robot) 협업 기술을 선보였다. SICK는 미래 지향적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혁신적인 센서 솔루션을 하노버 산업박람회에서 선보였다. 하노버 산업박람회(Hannover Messe)에서 SICK는 ‘인더스트리 4.0(Industry 4.0) 지원’이라는 모토아래 미래 지향적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혁신적인 센서 솔루션을 선보였다. 산업용 센서 분야의 기술 공급업체로서 SICK의 이번 발표는 정확한 물류를 위한 클라우드 및 작업현장 시스템의 고도로 집적화된 복잡한 웹 서비스에서 자율 로봇 제어에 이르기까지, 지능형 센서 데이터가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세계 최대 규모의 산업 박람회로 3,342개 업체가 참가한 이번 하노버 전.. 더보기
통일한국, 기업에서 미래를 찾다 - 디지털 시대의 비즈니스와 사회 재창조 조 케저(Joe Kaeser) 지멘스 회장이 5월 27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에서 '통일한국, 기업에서 미래를 찾다 - 디지털 시대의 비즈니스와 사회 재창조'를 주제로 염재호 고려대 총장과 특별대담을 갖고 있다.(사진제공 = 제주포럼 사무국) 발표자 : 조 케저 지멘스 회장토론자 : 염재호 고려대 총장 (토론자/ 염재호 총장) 제4차 산업혁명은 고용시대의 종말을 고할 수 있다. 대량/대규모 생산기업들이 변화하기 시작하고 있고 새로운 신생기업 벤처기업들이 등장하고 있다. 지멘스에서는 지난 170년간 사업 포트폴리오의 끊임없는 재개편을 비롯하여 수많은 변화를 겪어온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런 급진적인 변화에 생존하기 위해 30만 명의 직원이 훨씬 넘는 글로벌기업의 입장에서 .. 더보기
조 케저 지멘스 회장,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주제연설 요약문 조 케저(Joe Kaeser) 지멘스 회장이 5월 27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에서 '통일한국, 기업에서 미래를 찾다 - 디지털 시대의 비즈니스와 사회 재창조'를 주제로 연설하고 있다.(사진제공=제주포럼 사무국) 조 케저(Joe Kaeser) 지멘스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가 제11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에서 ‘통일한국, 기업에서 미래를 찾다 - 디지털 시대의 비즈니스와 사회 재창조’를 주제로 연설 및 염재호 고려대 총장과의 특별대담 자리를 가졌다. 조 케저 지멘스 회장은 연설에서 지멘스가 동·서독 경제통합에 기여한 과정과 통일과 관련한 한국기업의 역할 및 기회에 대해 설명했다. 조 케저 회장은 30여년 이상을 정통 ‘지멘스맨’으로 재직해 왔으며, 2013년 8.. 더보기
혁신적인 기술 통해 IIoT에서 요구되는 커넥티비티 충족시켜 나간다! MOXA의 Business Development Manager인 에드워드 루 씨가 레거시 장비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자사의 솔루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대표적인 산업용 통신 업체인 MOXA가 지난 6월 8일 COEX에서 ‘MOXA 인더스트리 4.0 솔루션 데이’를 성황리에 개최했다.지난 2014년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된 이번 행사를 통해, MOXA는 인더스트리 4.0 및 산업용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네트워킹 솔루션을 소개하고 관련된 지식을 공유했다.이날 행사를 통해 MOXA는 산업용 IoT를 구축하는데 있어서는 상호운영성과 사이버시큐리티, 레거시 장비의 연결, 이 3 가지가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MOXA는 엣지 제품군과 산업용 컴퓨팅,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IIoT에서.. 더보기
LabVIEW라는 강력한 병기가 열어갈 스마트 테스트 시대! 한정규 한국NI 전략마케팅 팀장은 FPGA 프로그래밍을 통해 고객이 기능을 정의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플랫폼 방식 계측기의 장점을 강조했다. LabVIEW라는 소프트웨어를 플랫폼으로 활용해 계측 및 테스트, 자동화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한국NI가 지난 6월 10일, 자사 교육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확대되는 스마트 디바이스 산업에 대응하는 자사의 스마트 테스트 시스템 전략을 발표했다.NI는 이번 기자간담회를 통해, 점차 복잡해지는 시스템 환경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보다 많은 항목을 효율적으로 테스트해야 하는 엔지니어들의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가 중심이 되는 플랫폼 전략만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일관되게 역설하는 한편, 공급자 중심의 고정된 기능을 갖는 기존의 박스형 계측기.. 더보기
TI, 업계에서 가장 높은 전력밀도 제공하는 12V, 10A, 10MHz DC/DC 컨버터 IC 출시 TI코리아 차영길 이사는 전력변환의 트렌드로서 에너지 효율, 통합, 고전압, 전력밀도 이 4가지를 꼽고, 새로운 TPS54A20은 이 4 가지를 충족시킨다고 말했다. 아날로그 IC 및 임베디드 프로세서 개발을 주도하는, 반도체 설계 제조업체 TI(Texas Instruments)가 지난 6월 1일 자사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50A/㎤ 이상의 전류밀도를 제공하는 업계 최초의 12V, 10A, 10MHz 직렬 커패시터 벅 컨버터 IC를 출시했다. 이러한 전류밀도는 현재 이용할 수 있는 다른 12V 전원관리 소자 또는 솔루션에 비해 4배 높은 성능을 달성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TI가 발표한 TPS54A20 SWIFT 동기식 DC/DC 컨버터 제품은 고유한 인터리빙 방식의 토폴로지를 적용하여 8V~14.. 더보기
3DEXPERIENCE 플랫폼과 디지털 연속성으로 스마트 팩토리 구현 구체화한다! 다쏘시스템 DELMIA 본사 Patrick Michel 부사장(오른쪽 줄 첫번째)이 설계와 생산기술, 생산을 연결하는 자사의 스마트 제조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소비자의 경험이 제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대에 들어서있는 시점에서, 이러한 트렌드를 가장 빠르게 비즈니스에 반영한 다쏘시스템이, 제조환경의 변화와 관련한 경험의 시대를 얘기하는 기회를 마련했다.다쏘시스템은 지난 2012년부터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통해 기업들이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창출하고, 경험의 경제를 선도해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는데, 최근 전 세계적인 화두 가운데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 매뉴팩처링(Smart Manufacturing)과 관련해, 경험의 시대에 제조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이와 관련한 자사의 전략적 .. 더보기
오토베이스, SCADA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토탈 제어 솔루션 업체로 변신 중! 오토베이스 전진철 차장 Autobase SCADA라는 국산 HMI/SCADA 소프트웨어로 관련시장에서 안정성장을 지속해온 오토베이스가, 터치패널과 I/O 컨트롤러 등의 하드웨어를 자사의 제품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면서, 비즈니스 영역을 크게 넓혀 나가고 있다. 몇 안 되는 국산 HMI/SCADA 업체로서 국내 제어 기술의 자존심을 대변하고 있는 전문 업체의 행보라는 점에서, 주목을 모으기에 충분한 대목. 오토베이스는 앞으로, 게이트웨이와 PLC 및 랙 PC와 같은 산업용 PC를 추가해, 고객이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제품과 솔루션, 기술지원을 확대함으로써, 급격하게 변화하는 제조업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장을 굳혀 나간다는 전략이다. 이러한 오토베이스의 체질 변화는 그동안 관련시장에서 인정받아온 기술력을 바.. 더보기
[월간 무인화기술] 2013년 12월호 발간 (주)한국종합기술이 발간하는 [월간 무인화기술] 12월호가 발행됐다.국내외 무인화산업과 관련한 최신 이슈를 전하는 [월간 무인화기술] 12월호는 '메이저공정제어 업체들의 F&G 시장전략'을 비롯한 다양한 내용들로 알찬 구성을 자랑했다.[월간 무인화기술]의 구독을 원하는 독자는 전화(02-2026-6900)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월간 무인화기술] 2013년 12월호 발간 더보기